
안녕하세요! 오늘은 비교적 쉬운 기초적인 아두이노 예제를 다뤄보겠습니다.
바로바로! LED를 키고 끄는 예제인데요!
중급 숙련자 분들은 이게 뭐냐며 지나치실 수 있습니다. 너무 쉬운 예제 거든요
따라서 초심자 분들도 다 따라오실 수 있으실 거에요!
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.

led는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.
led는 +와 -극을 잘 구별해 주셔야하는데요,
그림에서 보시듯이, 긴쪽이 +, 짧은 쪽이 - 입니다.
그다음,

다음과 같이 회로를 연결해 주세요 !
LED의 +는 저항을 거쳐서 아두이노의 9번 핀에,
-는 아두이노이 GND(그라운드)에 연결해 주시면 되겠습니다.
LED에는 저항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저항은 필수적으로 연결해주세요
잘못하면 LED가 터질 수 있어요!
그리고 나서, 아두이노를 켜고 코드를 작성해주세요
void setup() {
pinMode(9, OUTPUT);
}
void loop() {
digitalWrite(9, HIGH);
delay(1000);
digitalWrite(9, LOW);
delay(1000);
}
코드를 차근차근 살펴봅시다
pinMode(핀 번호, 모드);
pinMode함수는 아두이노에게 이 핀을 이 모드로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.
현재 pinMode(9, OUTPUT); 이므로,
아두이노에게 9번핀을 OUTPUT 즉, 출력형태로 사용하겠다. 이런 의미입니다.
digitalWrite(핀 번호, 상태);
digitalWrite는 핀 번호에 상태를 지정하는 함수 입니다.
상태는 디지털 이므로, 0(LOW)과 1(HIGH)로 표현되며,
현재 digitalWrite(9, HIGH); 는 9번 핀을 1 상태로 만들겠다는 의미입니다.
9번핀에는 LED가 연결되어 있으므로, LED가 1이라면...?
LED를 켜라는 의미 이겠죠?
delay(시간);
delay함수는 시간 지연함수입니다.
delay(1000); 이면 1초를 멈춥니다.
즉 1000 = 1초 입니다.
이제 Ctrl + U 를 눌러서 아두이노에 업로드 하면?
전구가 켜지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!
'IT > I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아두이노 ] DHT22 온/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환경 값 측정하기 (0) | 2022.10.11 |
---|
댓글